1년 총 평균 매출액 1,205,296,162,985원 관객수 총 평균 관객수120,349,464명
1인 관람횟수 2.35 대한민국 총 인구수 5천 1백만 기준과 실제 영화관 주타켓을 본다면 하고 계산하고
구독요금 체계가 정교하게 설계가 된 경우에 성공 가능성은 최소 700만명 ~ 1천만명 정도 되어야해요.
문제는 컨텐츠가 준비가 되어야 하고 상영관이 지금보다 수준이 높아져야 해요 또 이를 홍보마케팅을
계속해서 하려면 높은 투자비를 내어야 합니다 그런데 멀티플렉스 3사가 이걸 계산에 넣지 않았는가?
하고 보면 이미 다 시뮬을 돌렸는데 지금 시대하곤 좀 틀어지는 부분이 있습니다.
물론 구독제에 따른 혜택도 앞서 이야기 한 정교한 설계적 부분이고요 또한 3사 모두 공동이 될것이냐
단일로 구독제 할것이냐, 구독제 등급제, 특별관, 월관람 횟수, 굿즈, 그외 모든등등...
이는 2018년 무릎에 했어야 합니다 시대에 따른 퇴보도 있는데 지금 시대에 부합되게 하려면 영화관에
혁신이 없다면 성공하긴 힘들죠.. 물론 복잡한 정산 구조다 해도...
지금 당장에 지금 현 지점들 지켜 내려면 현금 수혈이라도 해야하는데 쉽지 않죠 지금 못해도 멀티플렉
스 3사 대략 순수 자본금 투자 할 능력이 조단위는 있어야 영화계가 살 수 있다 결론이 나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